시민주체로 나누며 돌보는 복지운동을 실천하는 용인시사회복지협의회

복지뉴스

시민주체로 나누며 돌보는 복지운동을 실천하는 용인시사회복지협의회

이름 관리자 이메일 test@test.com
작성일 2018-01-17 조회수 1666
파일첨부 [1.17.수.조간]_단전·단수_정보_등_빅데이터_활용으로_복지_사각지대_취약계층_7만_7000명_찾아내_지원.pdf
제목
단전단수 정보 등 빅데이터 활용으로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 7만 7000명 찾아내 지원

´17년 「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」을 이용하여 ´16년 대비 1만 1000여 명 더 많이 지원


보건복지부(장관 박능후)는 단전단수 등 위기예측 빅데이터 정보를 통해 지난해 총 7만7,000명에게 기초생활보장, 긴급지원, 돌봄, 민간 후원 연계 등 공공 및 민간서비스를 지원했다고 밝혔다.

지원 대상자수는 ´16년과 비교하여 1만 1000여 명 증가(18%)하였으며, 빅데이터로 예측한 대상자 중에서 실제 서비스를 지원받은 비율도 개선(´16년 20.1%→´17년 25.6%)되었다.

<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>

  • (개요) ‘송파 세모녀 사건’ 등을 교훈으로 단전, 단수, 기초수급 탈락중지, 의료비 과다지출 등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하여 복지 사각지대 대상자를 예측한 뒤 선제적으로 찾아내 지원하는 시스템(´15.12월∼)
  • (절차) 발굴관리시스템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으로 예측된 대상자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에 통보되며,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통해 가구마다 일일이 확인한 뒤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

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살펴보면, 먼저 공공 복지서비스는 기초생활보장급여 지원 6,712명, 차상위 지원 8,537명, 긴급복지 지원 1,109명, 기타 공공 복지서비스* 3만 1412명 등 모두 4만 7770명이다.

* 장애인 연금, 사회서비스 이용권, 요금감면, 고용(일자리), 돌봄서비스, 보육 등 지원

공공 복지서비스 자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2만 8868명은 민간기관이 제공하는 복지서비스*를 적극적으로 연계해 지원하였다.

* 사회복지공동모금회, 푸드뱅크, 대한적십자사 희망풍차, 민간기관 결연후원금 연계 등

특히, 지난해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중심의 지역밀착형 서비스 제공과 연계정보의 확대* 및 예측 빅데이터 모형의 개선으로 지원 대상자 수와 지원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.

* 산재보상보험 수급 후 미취업자,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체납자 정보 등

올해도 발굴관리시스템을 통해 총 6차례(2개월 간격 정기적), 약 35만 명 이상의 복지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를 찾고, 읍면동 통합 사례관리 상담조사를 통해 공공민간 제반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.

보건복지부 관계자는 "청년실업,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로 발생하는 위기취약 가구를 빠르게 찾아내 복지, 건강관리, 고용 등 서비스를 연계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"고 말했다.

또한, "빅데이터 예측 모형을 계속 정교화하여 현장 복지업무 담당자 업무를 지원하고, 읍면동 주민센터, 고용복지+센터, 사회복지관 등 민간 복지기관과 연계를 강화하겠다"고 강조했다.

이를 통해, "국민소득 3만 불 시대의 혜택을 국민 모두가 누리고 체감할 수 있게 사회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할 것"이라고 밝혔다.


[출처:보건복지부 복지정보기획과]

이전글 용인시, 지역 장애인 건강법 실행 위한 간담회 가져
다음글 자살, 중장년·노년층보다 청년층 더 쉽게 생각